암시적 any 대신 명시적 타입 구문을 추가해도 any 타입과 관련한 문제로부터 안전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. any 타입이 여전히 프로그램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.
npm의 type-coverage 패키지를 활용하여 any를 추적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npm type-coverage
> output : 9985 / 10117 98.69%
예제 결과를 보면 10177개의 심볼 중 9985개가 any가 아니거나 any의 별칭이 아닌 타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실수로 any 타입이 추가된다면, 이 퍼센티지가 줄어들게 됩니다. 그러므로 개발/유지보수 과정에서 이 결과 퍼센티지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꾸준히 추적할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.
npm type-coverage --detail
위와 같이 --detail옵션을 주고 실행하면, any 타입이 있는 곳을 모두 출력해 줍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Effective Typescript - 46 - 타입 선언과 관련된 세 가지 버전 이해하기 (0) | 2022.01.24 |
|---|---|
| Effective Typescript - 45 - devDependencies에 typescript와 @types 추가하기 (0) | 2022.01.24 |
| Effective Typescript - 43 - 몽키 패치보다는 안전한 타입을 사용하기 (0) | 2022.01.24 |
| Effective Typescript - 42 - 모르는 타입의 값에는 any 대신 unknown을 사용하기 (0) | 2022.01.24 |
| Effective Typescript - 41 - any의 진화를 이해하기 (0) | 2022.01.24 |